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트리플 콤보 브레이크 T3 색 전환, SMC 리테스트, H-RSI 크로스

by 유니세나 2025. 9. 25.

조합

 

📌 이미지 속 지표 라인업

  • Tillson T3 Moving Average
  • FluidTrades – SMC Lite
  • HARVARD RSI

1) Tillson T3 Moving Average

무엇을 기반으로 하나

  • T3 EMA를 여러 단계로 평활해 지연을 줄이고 노이즈를 낮춘 이동평균이다
  • 색상 전환으로 상승(초록하락(빨강) 모멘텀을 직관적으로 보여 준다

화면 해석

  • 초록 구간에서는 저가 리테스트 매수, 빨강 구간에서는 반등 매도가 기본 시나리오가 된다
  • 색 전환 직후는 가짜 신호가 많으니 한 개 봉 마감 확인을 권장한다

2) FluidTrades – SMC Lite

무엇을 기반으로 하나

  • BoS(구조 돌파), SUPPLY/DEMAND , POI를 자동 표시하는 SMC 구조 지표
  • 존의 상·하단이 진입·손절 기준선으로 작동한다

화면 해석

  • 차트 상단의 SUPPLY는 공급 저항대, 하단의 DEMAND는 수요 지지대로 본다
  • BoS 이후 해당 방향 존 리테스트는 고확률 재진입 구간이 된다

3) HARVARD RSI

무엇을 기반으로 하나

  • RSI를 평활·신호선과 함께 표시하는 강도 오실레이터
  • 중심선 부근 회복/이탈신호선 교차로 모멘텀 전환을 포착한다

화면 해석

  • 신호선 상향 교차 + 중심선 회복은 매수 쪽 우위다
  • 신호선 하향 교차 + 중심선 이탈은 매도 쪽 우위다
  • 가격과 지표의 다이버전스는 변곡 후보로 참고한다

🔗 지표 상호작용 로직

  • 지도는 SMC, 스위치는 T3, 확인은 RSI로 생각하면 쉽다

🚀 진입 타점 플레이북

롱 시나리오

  1. 환경: 가격이 하단 DEMAND 에 근접해 있고 T3가 초록으로 전환한다
  2. 구조: 직전에 상방 BoS가 있거나, 최소한 하방 구조가 무효화되는 캔들 마감이 나온다
  3. 트리거: DEMAND 경계에서 양봉 마감 + RSI 신호선 상향 교차가 동시에 나타난다
  4. 리스크: 손절 DEMAND 하단 또는 전 저가 이하로 둔다
  5. 익절: 첫 번째는 최근 스윙하이, 두 번째는 상단 POI/초기 공급대에서 분할 청산한다

숏 시나리오

  1. 환경: 가격이 SUPPLY 또는 POI 재테스트로 올라오고 T3가 빨강 유지한다
  2. 구조: 하방 BoS가 확인되거나 상방 구조 실패가 드러난다
  3. 트리거: 공급 경계에서 음봉 마감 + RSI 신호선 하향 교차가 겹친다
  4. 리스크: 손절은 공급 박스 상단 또는 직전 반등 고점 위에 둔다
  5. 익절: 최근 저점 → DEMAND 상단 순서로 분할한다

🧪 품질 업 체크리스트

  • 상위 주기(1시간)에서 T3 방향이 같은 쪽인지 확인한다
  • 첫 돌파는 추격하지 않고 리테스트 + 캔들 마감을 기다린다
  • 거래량 증가가 트리거 봉과 동행하면 신뢰도가 높다
  • 같은 레벨에서 실패 후 재리테스트 + 재신호라면 1회만 재도전한다

운영 주의

  • 강한 단일 추세장에서는 역추세보다 추세 추종을 우선한다
  • 뉴욕 세션 초반에는 변동성이 커서 슬리피지가 커지므로 포지션 크기를 줄인다
  • 본 글은 교육 목적이며, 고정 손절과 분할 청산을 기본 원칙으로 삼는다
반응형